이용주 감독의 <건축학개론>은 첫사랑의 아련함과 회한을 섬세하게 그려낸 한국 멜로 영화의 대표작이다. ‘건축학개론’이라는 과목을 통해 처음 만난 두 주인공 서연과 승민은 대학 시절 서로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가지만, 감정의 미숙함과 상황의 오해 속에서 끝내 마음을 전하지 못한다. 15년 후, 건축가가 된 승민 앞에 다시 나타난 서연은 과거의 감정을 다시금 불러오고, 영화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두 사람의 관계를 조명한다. 이 영화는 단순히 첫사랑의 회상에 그치지 않고, 시간이 사람과 감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조용하게 말한다. 음악, 공간, 시선 등 감정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정을 경험하게 만든다. <건축학개론>은 한국 관객에게 첫사랑이라는 보편적인 경험을 통해 강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회상의 미학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지를 증명한 작품이다.
건축과 감정, 기억을 짓는 서사 구조
<건축학개론>의 가장 독창적인 점은 '건축'이라는 메타포를 활용해 감정의 구조를 시각화했다는 것이다. 과거와 현재를 교차 편집하는 구성은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현재의 공간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감정이 되살아나는 구조적 장치로 작용한다. 승민은 대학 시절 ‘건축학개론’ 수업을 통해 서연과 처음 만나게 되고, 그 당시의 공간적 경험은 현재 그가 서연의 집을 설계하는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때 감정은 회상에 머무르지 않고, ‘건축’이라는 물리적 작업을 통해 다시 형성된다. 마치 공간을 하나하나 쌓아가듯, 승민은 자신의 감정을 되짚고 해체하며 다시 설계해나간다. 이는 단순히 첫사랑을 추억하는 수준이 아니라,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과거의 감정이 어떻게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정교한 감정의 건축학이라 할 수 있다.
미완으로 남은 감정의 가치
서연과 승민의 첫사랑은 결국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 미완의 감정이 오히려 더 깊은 울림을 준다. 대학 시절의 두 사람은 서로를 좋아했지만, 감정 표현에 서툴렀고, 오해와 타이밍의 엇갈림으로 인해 관계는 멀어지고 만다. 영화는 이 사랑의 실패를 누구의 잘못으로 단정 짓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그 시절 감정이 지닌 ‘순수함’과 ‘미숙함’이 만들어낸 결과로 묘사된다. 그리고 그 미완의 감정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어딘가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영화는 이러한 감정을 이상화하거나 미화하지 않는다. 다만 시간이 흐른 뒤에도 그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게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조용히 보여준다. 바로 이 지점이 <건축학개론>이 단순한 멜로 영화가 아닌, 감정의 깊이를 성찰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 이유다.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더 아름다웠던 사랑, 그것이 이 영화의 핵심 감성이다.
공간과 음악, 감정을 소환하는 장치들
<건축학개론>은 시각적·청각적 요소를 통해 감정을 증폭시키는 데 탁월한 감각을 보여준다. 특히 공간은 인물의 감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주도의 바닷가 집, 캠퍼스 계단, 스피커를 함께 듣던 골목 등은 모두 인물들의 감정이 응축된 장소다. 이 공간들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기억을 저장한 장소로 기능하며, 현재의 인물들에게 과거의 감정을 그대로 소환하는 힘을 가진다. 또한 이지훈이 작곡한 OST ‘기억의 습작’은 영화의 정서를 집약한 상징으로 작용한다. 이 곡은 서연과 승민의 감정을 대사 없이도 설명하고, 장면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두 사람이 다시 만나면서 과거의 멜로디가 겹쳐질 때, 관객은 감정의 흐름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이처럼 <건축학개론>은 말보다 이미지와 음악으로 감정을 구성하며, 그 여운을 길게 남기는 섬세한 연출이 돋보인다.
결론 - 첫사랑은 끝나지 않는다
<건축학개론>은 첫사랑이라는 주제를 회상과 건축이라는 매개로 깊이 있게 풀어낸다. 영화는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을 단순한 아픔이 아닌, 지금의 나를 만든 한 조각으로 바라보게 만든다. 승민과 서연은 다시 사랑하지 않지만, 서로를 통해 자신의 과거를 받아들이고, 감정을 정리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이 결말은 애틋하지만, 동시에 위로가 된다. 첫사랑은 끝났지만, 그것은 잊혀진 것이 아니라 가슴 깊이 남아 있는 ‘기억의 건축물’이 된 것이다. <건축학개론>은 보편적인 감정을 섬세하게 끌어올리며, 관객 각자의 첫사랑을 떠올리게 만드는 영화다. 시간은 지나도 어떤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그 기억 속에서 우리는 다시 설계되고 완성되어 간다. 그래서 이 영화는 단지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감정과 시간의 구조’를 아름답게 설계한 감성의 걸작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