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커티스 감독의 『어바웃 타임(About Time, 2013)』은 시간 여행이라는 판타지적 설정을 통해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감성 영화다. 주인공 팀은 21살 생일에 아버지로부터 가문의 남자들이 시간 여행 능력을 가졌다는 사실을 듣는다. 그는 이 능력을 사랑과 실수, 인생의 중요한 순간들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중요한 깨달음을 얻는다. 영화는 시간 여행이라는 기발한 장치를 통해 인생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려는 인간의 욕망을 조명하면서도, 진짜 행복은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는 데 있다는 메시지를 감동적으로 전한다. 『어바웃 타임』은 유쾌하고 따뜻하지만 동시에 삶의 본질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작품으로, 일상의 감사를 전하는 영화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어도, 삶은 완벽하지 않다
주인공 팀은 처음에는 실수를 바로잡거나 사랑을 이루기 위해 시간 여행을 사용한다. 메리와의 연애에서 어긋난 타이밍을 고치고, 친구의 발표를 돕고, 여동생의 삶도 바꾸려 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그는 한 가지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과거를 고친다고 해도, 그로 인해 다른 결과가 뒤틀릴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여동생 키트캣의 교통사고를 막으려다 아예 조카가 다른 아이로 태어나는 상황이 생긴다. 시간은 모든 것이 연결된 연쇄이기 때문에, 하나의 변화가 다른 행복을 지워버릴 수 있다는 아이러니. 이 영화는 우리가 바라는 '완벽한 삶'은 존재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변화가 아닌 수용임을 보여준다. 시간 여행이 해결책이 아니라, 결국은 ‘그 순간을 얼마나 소중히 여기는가’로 귀결된다.
진짜 행복은 지금 이 순간을 살아내는 것
시간 여행 능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던 팀은 결국 특별한 순간들뿐 아니라 ‘평범한 일상’을 되돌아보게 된다. 그는 하루하루를 처음엔 아무 생각 없이 보내고, 그다음엔 그 하루를 다시 살아보며 순간들을 음미한다. 점점 그는 반복 없이도 하루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배우게 된다. 이 흐름은 영화의 핵심 메시지다. 결국 삶이란 기적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라, 커피를 마시고, 가족과 밥을 먹고, 연인과 웃고 우는 평범한 시간 속에 있다는 것. 감독은 이를 장면 연출로도 잘 보여준다. 눈 내리는 날 메리와 걸어가는 장면, 팀이 아이와 노는 장면 등은 아주 단순하지만 깊은 울림을 준다. 영화는 말한다.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여기’가 가장 소중한 시간이라고.
부자의 대화가 말해주는 삶의 본질
이 영화의 가장 감동적인 관계는 팀과 그의 아버지다. 아버지는 이미 수십 년간 시간 여행 능력을 써온 인물로, 팀에게 그 능력을 어떻게 쓰는 것이 진짜 가치 있는 일인지 조언해준다. 특히 영화 후반부, 아버지가 죽기 전 팀과 마지막 여행을 함께 떠나는 장면은 진정한 ‘이별의 방식’을 가르쳐준다. 과거를 반복하며 아버지와의 시간을 연장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진짜 이별을 준비하게 하진 않는다. 결국 팀은 능력을 포기하고,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떠나보낸다. 이 과정은 죽음과 상실을 받아들이는 성숙한 태도를 보여준다. 영화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사랑도, 삶의 유한함도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응시한다. 시간 여행이 결국 ‘삶을 붙잡는 힘’이 아니라 ‘놓아주는 연습’이 된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깊은 철학을 품고 있다.
결론 - 『어바웃 타임』 시간 여행이 아닌, 현재가 가장 큰 선물
『어바웃 타임』은 시간 여행이라는 환상을 빌려 현실의 진실을 보여주는 영화다. 누구나 과거를 바꾸고 싶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지만, 영화는 결국 “지금 이 순간을 충분히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실수를 해도, 아쉽더라도, 그 모든 것은 삶의 일부다. 영화는 인생을 바꾸는 비밀은 능력이 아니라 ‘마음가짐’에 있다고 말하며, 팀이 능력을 쓰지 않고도 충실한 하루를 살아가는 마지막 장면으로 감동을 완성한다. 어바웃 타임은 따뜻하고 감미로운 영화지만, 동시에 아주 단단한 메시지를 품고 있다. 오늘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함께 있는 사람의 의미가 얼마나 큰지, 그리고 ‘시간을 여행하지 않아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전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