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개봉한 프랑스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셀린 시아마 감독이 여성의 시선과 서사를 중심으로 그려낸 걸작이다. 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결혼을 앞둔 귀족 여성 엘로이즈와 그녀의 초상화를 그리게 된 화가 마리안느 사이의 감정적 교류와 사랑을 그린 이 작품은 기존의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난 섬세한 연출로 극찬을 받았다. 특히 여성의 욕망과 자유, 그리고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본 분석에서는 이 작품의 핵심 요소인 여성 서사, 시선의 교환, 미장센의 미학을 중심으로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의 예술성과 철학적 메시지를 풀어보고자 한다.
여성 서사: 말하지 않는 사랑의 서정
이 영화는 남성 인물이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서사의 중심에는 여성 인물 간의 관계가 놓인다. 특히 엘로이즈와 마리안느의 관계는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 사회적 억압과 개인의 자유 사이에서 피어나는 감정의 진폭을 섬세하게 그린다.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하던 엘로이즈는 마리안느를 통해 처음으로 자기 결정을 향한 욕망을 자각하게 된다. 이 사랑은 폭발적이지 않지만 내면의 불꽃처럼 서서히 타오르며, 감정의 고조는 침묵과 시선, 그리고 그림을 통해 표현된다. 시아마 감독은 이 관계를 통해 여성의 연대와 자아 발견의 과정을 그려내며, 말보다 강한 시청각적 언어로 사랑을 전달한다. 이처럼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여성 서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영화로 평가된다.
시선의 교환: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전복
영화는 ‘시선’이라는 주제를 중심에 둔다. 마리안느는 엘로이즈의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이자 동시에 감정의 주체로서 그녀를 바라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시선은 일방적이지 않게 된다. 엘로이즈 역시 마리안느를 바라보고, 그들의 시선은 점점 대등해진다. 이는 전통적인 회화의 구도, 즉 남성이 여성을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여성 간의 시선 교환을 통해 감정의 주체가 서로가 되는 구조로 이어진다. 영화 속 장면 구성은 이러한 시선을 명확히 드러낸다. 정적인 화면 속 눈빛의 교차, 프레임 밖에서 들려오는 숨소리, 손끝의 떨림까지 모든 요소가 시선의 흐름을 시적으로 연출한다. 결국 이 영화는 보는 것 자체가 감정의 전달이며, 그림이 감정의 종착지가 아닌 출발점임을 말한다.
미장센과 촬영의 예술성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회화적인 미장센과 세심한 조명, 색채를 통해 정적인 아름다움을 완성한다. 영화 전반에 걸쳐 사용된 자연광, 불꽃, 바람, 파도소리 등은 등장인물의 감정선을 반영하는 시청각적 장치로 기능한다. 의상과 배경, 앵글까지 모두가 마치 한 폭의 유화를 보는 듯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관객이 감정을 따라가기보다 감정 그 자체에 머무르도록 만든다. 특히 마지막 장면의 오르페우스 신화와 엘로이즈의 눈물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의 밀도를 시각적으로 극대화시킨다. 카메라의 고정된 시점, 긴 호흡의 편집, 절제된 연기 모두가 감정을 차분히 응시하게 만들며, 감정과 미학이 일체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이처럼 미장센은 단순한 미적 장치가 아닌 감정의 물리적 구현물이다.
결론 :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여성의 시선으로 사랑과 자유, 그리고 예술을 재해석한 수작.
감정을 말이 아닌 시선과 이미지로 풀어내며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는 이 작품은, 전통적인 로맨스나 드라마와는 전혀 다른 결을 지닌다. 무언가를 말하지 않아도, 보여주지 않아도 강하게 전해지는 감정의 본질을 경험하고 싶다면 이 영화를 꼭 감상해보기를 추천한다. 침묵 속에서 타오르는 감정의 진폭을, 한 장의 초상화처럼 오래도록 간직하게 될 것이다.